한 PC에서 카카오톡 2개 실행! 듀얼메신저 설정 초간단 방법 A to Z

한 PC에서 카카오톡 2개 실행! 듀얼메신저 설정 초간단 방법 A to Z

목차

  1. 카카오톡 듀얼메신저, 왜 필요할까?
  2. 방법 1: 윈도우 11의 숨겨진 기능, 듀얼 앱 활용하기
  3. 방법 2: 가장 보편적인 방법, 가상화 프로그램 사용하기 (VMware)
  4. 방법 3: 휴대폰 앱과 PC 연동으로 2개 계정 사용하기
  5. 듀얼메신저 사용 시 유의사항

카카오톡 듀얼메신저, 왜 필요할까?

배너2 당겨주세요!

개인용과 업무용 카카오톡 계정을 분리해서 사용하고 싶을 때, 혹은 부계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PC에서는 하나의 카카오톡 프로그램만 실행할 수 있어서 불편함을 겪곤 하죠. 모바일에서는 듀얼 앱 기능으로 손쉽게 두 개의 카카오톡을 사용할 수 있지만, PC에서는 방법을 몰라 아쉬워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PC 한 대에서 카카오톡을 두 개 실행하는 가장 쉽고 안전한 방법들을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더 이상 번거롭게 로그아웃, 로그인 과정을 반복하거나 업무용 PC와 개인용 PC를 따로 둘 필요가 없습니다.


방법 1: 윈도우 11의 숨겨진 기능, 듀얼 앱 활용하기

윈도우 11은 안드로이드 앱을 직접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는 Windows Subsystem for Android (WSA) 기능을 지원합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마치 스마트폰처럼 PC에 카카오톡 앱을 두 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별도의 복잡한 프로그램 설치 없이 윈도우 자체 기능을 사용하므로 가장 안정적이고 깔끔한 방법입니다.

먼저,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Windows Subsystem for Android를 검색하여 설치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APK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안전한 웹사이트(예: APKMirror)에서 카카오톡 APK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이때, 카카오톡의 최신 버전 APK를 다운로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운로드한 APK 파일을 실행하기 위해 ADB(Android Debug Bridge)를 설치해야 합니다. ADB는 안드로이드 기기와 PC를 연결하여 명령어를 주고받는 도구입니다. 구글 공식 안드로이드 개발자 사이트에서 SDK Platform-Tools를 다운로드하면 ADB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압축을 해제한 후, 명령 프롬프트를 열어 해당 폴더로 이동합니다.

명령 프롬프트에 adb connect 127.0.0.1:58526 명령어를 입력하여 WSA와 연결합니다. WSA의 IP 주소는 설정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결이 성공하면 adb install [카카오톡_APK_파일_경로] 명령어를 입력하여 카카오톡을 설치합니다. 이 과정이 다소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한 번만 설정해두면 이후로는 별도의 조치 없이 두 개의 카카오톡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설치된 카카오톡은 WSA를 통해 가상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실행되며, 윈도우 시작 메뉴에 마치 일반 프로그램처럼 나타납니다. 기존에 설치된 카카오톡 PC 버전과 별개로 작동하므로 두 개의 계정을 동시에 로그인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 시스템 자원 소모가 적고, 윈도우 운영체제와 자연스럽게 통합된다는 점입니다.


방법 2: 가장 보편적인 방법, 가상화 프로그램 사용하기 (VMware)

가상화 프로그램은 PC 안에 또 다른 가상의 컴퓨터를 만드는 기술입니다. 이 가상의 컴퓨터에 윈도우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그 안에 다시 카카오톡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가상화 프로그램으로는 VMware Workstation PlayerOracle VirtualBox가 있습니다. 이 방법은 초보자에게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한 번만 익혀두면 카카오톡뿐만 아니라 다양한 프로그램을 듀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먼저, VMware Workstation Player를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개인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설치 후, 새로운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을 생성합니다. 이 과정에서 윈도우 설치 ISO 파일을 사용해야 하므로, 미리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홈페이지에서 윈도우 ISO 파일을 다운로드해두어야 합니다.

가상 머신을 생성할 때, 하드웨어 사양(CPU 코어, 메모리, 저장 공간)을 적절하게 할당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무 낮은 사양으로 설정하면 가상 윈도우의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가상 머신에 윈도우를 설치하는 과정은 실제 PC에 윈도우를 설치하는 것과 거의 동일합니다.

윈도우 설치가 완료되면, 가상 윈도우 안에서 인터넷 브라우저를 열고 카카오톡 공식 홈페이지에서 PC 버전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이제 호스트 PC(실제 PC)에 설치된 카카오톡과 가상 머신에 설치된 카카오톡, 두 개의 카카오톡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습니다. 가상 머신은 별도의 창으로 실행되므로 화면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이 방법은 윈도우 운영체제를 통째로 하나 더 실행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시스템 자원을 많이 소모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특히, 메모리가 충분하지 않은 PC에서는 속도가 현저히 느려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스템 자원이 충분하다면 가장 안정적이고 호환성이 뛰어난 방법 중 하나입니다.


방법 3: 휴대폰 앱과 PC 연동으로 2개 계정 사용하기

PC에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복잡한 설정을 할 필요 없이, 기존에 사용하던 모바일 카카오톡을 PC에서 그대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윈도우 11의 휴대폰과 연결 기능을 활용하는 것으로, 가장 간단하고 직관적인 방법입니다.

먼저, 스마트폰에 링크 투 윈도우(Link to Windows) 앱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의 경우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으며, 다른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은 플레이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PC에서는 휴대폰과 연결 앱을 실행합니다.

PC와 스마트폰을 QR 코드로그인을 통해 연동합니다. 연동이 성공하면 PC의 휴대폰과 연결 앱에서 스마트폰 화면을 미러링하여 볼 수 있습니다. 미러링된 화면을 통해 스마트폰의 카카오톡 앱을 직접 제어할 수 있으며, PC의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입력하고 전송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 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 PC 버전 카카오톡모바일 카카오톡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PC에는 개인용 계정을 로그인하고, 미러링된 스마트폰 화면으로는 업무용 계정을 사용하면 됩니다.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나 복잡한 설정 없이 이미 사용 중인 환경을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편리함이 극대화됩니다.

다만, 이 방법은 스마트폰이 항상 PC와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네트워크 환경이 불안정하면 지연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모바일 화면을 미러링하는 방식이므로 PC 버전처럼 독립된 창으로 깔끔하게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볍게 두 개의 카카오톡 계정을 사용하고 싶은 사용자에게는 가장 매력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듀얼메신저 사용 시 유의사항

카카오톡 듀얼메신저를 사용하면서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우선, 카카오톡은 하나의 전화번호로 하나의 계정만 생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듀얼메신저를 사용하려면 서로 다른 전화번호로 개설된 두 개의 계정이 필요합니다. 업무용과 개인용 전화번호를 분리해서 사용하거나, 스마트폰의 듀얼심 기능을 활용하여 두 개의 번호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또한, 일부 비공식적인 방법이나 출처가 불분명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듀얼메신저를 설정하는 것은 보안상 매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악성코드에 감염되거나 개인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공식적이거나 널리 알려진 안전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에 제시된 방법들은 모두 신뢰할 수 있는 방식이므로 안심하고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듀얼메신저를 사용할 때 알림 설정을 꼼꼼하게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두 개의 카카오톡에서 동시에 알림이 울리면 혼란스러울 수 있으므로, 용도에 맞게 알림 설정을 조정하여 불필요한 방해를 줄이는 것이 효율적인 사용에 도움이 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